에너지플랫폼 뉴스레터 2024.11월💌
사람과 에너지 & 환경을 연결하는 기업, 케빈랩입니다!
에너지 레터는 케빈랩에서 매달 발행하는 뉴스레터입니다.
혹시라도 모르고 지나쳤을 케빈랩의 소식과 보도자료, 진행 사업에 대해 이야기해 드리려고 합니다. 매달 다양한 소식 전해드리며 에너지 레터를 통해 항상 소통하며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케빈랩은 대한민국 대표 기후에너지혁신스타트업으로 탄소중립 및 ESG 시대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폐사에 관심있으신 어느 분들이나 환영합니다.
|
|
|
[ 케빈랩의 주요사업 및 서비스지표현황, 24'11기준 ]
▶ 올해 대한민국 대표 기후테크-에너지혁신 기업인 케빈랩의 주요 사업의 에너지서비스 지표를 소개합니다.
▶ 케빈랩은 NO.1 건물분야(BD) 에너지서비스 사업자로 공동주택(집합건물)을 포함한 ZEB 빌딩등 약 8,180개 건물을 관리하고 있으며 여의도 면적의 13.7배 이르는 39백만m2 면적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 또한 신재생 분산자원(자가소비중심)을 통해 약 연간 23.5GWh/y 의 청정전력생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전국 약 2,808 개소 이상의 소규모 신재생 분산자원 (태양광,태양열,지열,연료전지등) 보유 + 약 1,800개소(추가 수주확정) ) ▶ 케빈랩이를 통해 약 연간 10,383 tCO2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더욱더 혁신 에너지 서비스를 확대하여 대한민국 탄소중립에 이바지 하겠습니다. |
|
|
[ 유무선 통합환경센서(5종) 벤처혁신조달상품 & CE인증 획득 ]
▶케빈랩이 개발 및 상용화 출시완료한 유무선 통합환경센서 ( 온도,습도,CO2,미세먼지,초미세먼지)가 조달청이 지정한 벤처창업혁신조달 상품( 식별번호: ' 25497524 ' ) 지정 및 CE인증을 획득하었습니다. 이로써 공공분야 도입은 수의계약가능하며, CE인증 획득으로 해외시장(+인도네이사등) 에서도 본격적 인 상용화 판매 가능 합니다.
▶ 2020년 부터시행중인 ZEB(제로에너지빌딩) 공공의무화 -> 민간의무화(25년)에 확대에 따라 BEMS가 필수로 도입되어야 하며, 중요요소로서 실내 환경정보를 반드시 게시 / 관리 / 제어 해야 합니다. 케빈랩은 비싼(저가) 국외 제품을 대체한 국내 혁신 제품으로 앞으로 많은 관심(+도입) 부탁 드립니다. ▶제품문의는 kevinkim@kevinlab.com 으로 ^^
|
|
|
[ 주택용 TOU, 내년부터 모든 지자체 단계 도입, 에너지분산특별법에 따른 지역별 차등요금제 더해 '요금제 대전환 ]
▶ 정부가 내년부터 주택용 전기료를 계절과 이용 시간에 따라 차등 적용하는 요금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기 로 했습니다.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와 함께 전기요금 체계의 일대혁신이 일 것으로 정부와 한전, 에너지혁신기업들이 기대하고 있습니다.
▶ 케빈랩은 현재 국내 NO1 & 유일의 공동주택(+집합건물) 에너지서비스 제공사업자로 약 33만여 공동주택 (세대)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진행중이며 내년까지 150만세대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 케빈랩은 주택용 TOU서비스에 필요한 실시간에너지수집~검침-부과-빌링-고지에 이르는 전반의 에너지서비스(EaaS)를 제공중이며 이와 함께 국민DR(주민DR), 에너지효율화 서비스도 함께 제공중입니다. ▶ 내년 부터 TOU 서비스를 확대할 경우 정부-한전의 경우 합리적에너지소비를 통해 전력수요분산, 송배전 설비 및 관리비용절감, 에너지절감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경우에도 기존 누진제 대비 전력비용을 절감시킬수 있고, 에너지혁신기업등도 각종 에너지신사업(에너지거래BM등) 확산이 가능할 것이라 예상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보도자료를 참고하세요 ! |
|
|
[ 케빈랩, K-에너지컨소시엄과 세르비아 스마트미터링 20만세대(1차, 4,000만유로) 국제입찰 참여 ]
▶ 케빈랩과 타이드등은 K-에너지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최근 입찰공고한 세르비아의 스마트미터링(전력) 사업에 본격 참여합니다.
▶ 세르비아의 스마트미터링 사업은 내년까지 1차~2차 사업형태로 총 60만세대 (총 1800억규모 )의 세르비아의 실시간 전력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케빈랩과 K-에너지컨소시엄은 지난 약 2년이상 KOTRA(베오그라드) 와 NIA, 외교부등의 사업 지원하에 본 사업을 준비해 왔습니다. ▶ 최근 본 국제입찰이 공고되어 내년 1월초까지 입찰 참여를 완료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세르비아 현지 기업들과의 사업협력을 위한 사전준비를 해왔습니다.
▶내년초 Korea 에너지컨소시엄을 중심으로한 최초의 동유럽 진출사례가 될 본 프로젝트에 최선을 다해 수주하도록 하겠습니다. 관계자분들의 많은 성원 부탁 드립니다. |
|
|
[ 케빈랩, 한전과 국민참여형 에너지디지털서비스 활성화 MOU체결 ]
▶ 케빈랩이 지난 11/7일 한전BIXPO전시회에서 한전을 비롯한 LG전자, 삼성전자, 서울도시가스등 에너지 공급사 및 가전사, 원격검침(PS텍등), 수요관리회사등과 함께 에너지데이터 기반의 국민참여형 에너지 서비스 활성화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 본 협약은 에너지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국민의 에너지 사용 부담을 줄이고 스마트한 에너지 소비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국민 참여형 에너지 디지털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협약사간 컨소시엄을 구성 2025년도 서울시 주민수요반응 서비스 운영사업에 참여하고, 기타 에너지 신사업 창출 및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캐빈랩은 국내유일(TOU등)의 공동주택 에너지서비스 사업자로서 서울시 주민DR 및 전력거래소의 국민DR 참여하고 있는 수요관리사업자 + 전력중계거래 사업자로서 내년부터 본격 활성화 예정인 국민참여형 에너지디지털 서비스를 선도하겠습니다. |
|
|
[ 2024 NIPA 파트너스 데이, 2024 Nice Partner 선정 ]
▶케빈랩이 국내 및 해외 에너지혁신서비스 사업성과를 바탕으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가 11월 28일 엘타워 루비홀에서 개최한 ' 2024년 NIPA NIce PArtner '에 선정되었습니다.
▶ 2024년에는 총 40여개의 기업이 'NIPA 파트너스'로 선정 되었으며 케빈랩은 8개의 본부 중 글로벌 본부 의 파트너로 해외성과를 인정받아 선정되었으며 이에 감사패를 수여받았습니다.
▶ NIPA 파트너스 데이는 NIPA 파트너 기업들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협력하여 사업의 시너지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NIPA가 매년 연말 마련하는 지원사업입니다.
▶케빈랩은 NIPA의 각종 지원사업을 통해 동남아를 비롯한 글로벌 진출 및 성과창출에 더욱 박차를 기하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
[ 케빈랩, 대전창경 주관 글로벌벤처스타(GVS) 선정, 베트남 시장개척 ]
▶ 케빈랩이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글로벌벤처스타 VIS(Vietnam Innovation Summit, 이하 VIS)'에 유망스타트업으로 선정되어 베트남 호치민에서 수출상담회 , 투자상담등을 진행하였습니다. ▶ 케빈랩은 SaaS기반의 에너지플랫폼을 통해 베트남 과기대학교 및 현지 투자사(VC), 관심기업과 수출등의
상담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관심이 많은 현지 건물관리기업 및 시행사등과 솔루션 현지화 라이센스 제공등 을 행사 복귀후에도 후속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 현존하는 베트남의 다양한 에너지문제 및 비용, 관리문제의 솔루션이 될 수 있도록 케빈랩은 지속적으로 협의해서 현지 시장개척 및 판로확대를 추진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를 참고하세요 ~~
|
|
|
[ 케빈랩, 에너지분야 유망기업의 투자유치+혁신기술세미나 참가 ]
▶ 케빈랩이 IBK창공(대전)이 에너지 분야 유망기업의 투자유치 연계와 혁신기술 소개로한 세미나에 케빈랩이 참석도 참석 주요기술 및 사례발표를 진행 하였으며, 아울러 에너지분야의 전문 VC와도 밋업을 통해 투자IR을 진행하였습니다.
▶ 본 에너지세미나에는 지난 6월 상장한 그리드위즈 김구환 대표 및 이동형 ESS 혁신기업 이온어스의 허은대표도 함께 연사로 참여하였으며, 에너지 서비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넒히고 유망투자기업의 비전을 확대 할 수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행사를 주최해 주신 IBK창공 및 운영사 (JBV 제이비벤처스) 담당자분들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
|
|
[ 케빈랩, 중국 Midea그룹과 에너지플랫폼 사업협력 및 IR협의 ]
▶ 케빈랩이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고 있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 개방형 혁신 주관기관)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글로벌 대기업 초청 세미나 및 에너지서비스 협력 기관으로 중국의 글로벌 가전 및 산업용 기기· 부품분야 대기업인 "Midea Group" 에너지 및 투자담당 임원진과의 밋업을 진행하였습니다.
▶ 중국 Midea 그룹은 시가총액 약 5,500억 CNY(약 106조 KRW) 규모로, 연간매출 약 3,730억 CNY (약 72조 KRW) (임직원수) 200,000명+의 글로벌 대기업으로 별도의 세미나 이후 케빈랩과 단독 밋업 을 진행하였습니다.
▶ 본 회의에서 케빈랩의 주요 서비스플랫폼과 기술, 사업현황을 소개하였으며, 본격적으로 한국진출 고려 하고 있는 Midea그룹의 투자검토문의등 IR협의를 진행하였습니다.
|
|
|
[ 케빈랩, 월드뱅크 스마트그리드 Study Tour 혁신서비스 사례발표 ]
▶케빈랩이 월드뱅크 내 에너지 부문 관리 지원 프로그램 (ESMAP)의 주관으로 한국에서 10월 30일부터 11월 6일까지 인도, 에콰도르, 튀르키에, 아르메니아 등 개도국의 에너지 관련 기관 및 기업을 한국에 초청한 한국 스마트그리그 에너지혁신서비스 사례 연수회에 우수사례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이번 연수의 주요 목적은 세계은행 고객국의 전력회사들이 스마트 그리드 기술, 구현 사례, 배포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특히, 한국에서 관찰할 수 있는 기술현황, 관련 정책, 모범 사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있습니다.
▶케빈랩은 본 WB 연수 프로그램 중 국내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우수혁신기술들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보유한 DNA기반의 에너지관리플랫폼 기술과 서비스, 주요사례등을 소개하였습니다.
|
|
|
[ 케빈랩, 말레이시아 최대 EV충전사업자ChargeSini & TNB- UNITEN과 에너지솔루션 제공 파트너쉽 계약 체결 ]
▶ 케빈랩은 11/19일 말레이시아 최대 EV 충전 솔루션 제공사인 ChargeSini 및 국영전력청 산하 University Tenaga Nasional (UNITEN)과 공동으로 지속가능하고 효츌적인 에너지 솔루션 제공을 위한 파트너쉽을 체결하였습니다
▶ ChargeSini가 확보한 말레이시아 전역의 EV 충전 네트워크의 운영 데이터와 TNB (전력청)의 전력분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케빈랩의 기술력은 UNITEN 연구원들이 에너지 수요 및 사용 패턴 연구를 통하여 EV 사용 증가로 인한 전력망의 과부하를 해소하는 한편, 학계와 업계의 협력을 통한 솔루션 개발의 표본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이번 파트너십은 ChargeSini, UNITEN 및 KevinLab의 첨단 기술과 전문 지식의 융합과 협력을 통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솔루션 개발은 물론, 전력망 관리와 에너지 분배 개선으로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태계 구축 및 EV 수요 확대에 기여할 것입니다.
|
|
|
케빈랩(주)
HQ (+기업부설연구소)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덕천로152번길 25, 안양아이에스비즈타워 A동 1101호~1104호
말레이시아법인 : Unit C-8-7, KL Trilion, Level 8, No 338, Jalan tun Razzak, 50400, Kuala Lumpur
TEL : 031-360-3123 / FAX : 031-360-3124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