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 뉴스레터 2025.07월💌
사람과 에너지 & 환경을 연결하는 기업, 케빈랩입니다!
에너지 레터는 케빈랩에서 매달 발행하는 뉴스레터입니다.
혹시라도 모르고 지나쳤을 케빈랩의 소식과 보도자료, 진행 사업에 대해 이야기해 드리려고 합니다. 매달 다양한 소식 전해드리며 에너지 레터를 통해 항상 소통하며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케빈랩은 대한민국 대표 기후에너지혁신스타트업으로 탄소중립 및 ESG 시대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폐사에 관심있으신 어느 분들이나 환영합니다.
|
|
|
[케빈랩, '울산 거점형 스마트시티'입찰, 에너지분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국토교통부와 울산광역시가 공동 추진하는 ‘2023년 울산광역시 거점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입찰에서 케빈랩이 '에너지 통합 플랫폼 구축 및 REMS·HEMS·BEMS 설치 용역 ( 약 33억원 규모 )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8월중 계약 후 프로젝트 본격추진)
▶케빈랩은 국내유일의 공동주택 에너지관리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에너지 수집·분석·예측 솔루션과 건물에너지관리솔루션, 신재생통합관제 솔루션등과 함께, 울산페이 및 OK캐시백과 연동되는 리워드 체계를 설계하여 울산시민의 에너지문제해결 및 혜택기반 체감형 에너지 서비스를 구축 할 예정입니다.
▶ 특히, REMS, HEMS, BEMS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한 End-to-End 에너지 관리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울산형 스마트시티의 탄소중립 실현과 지역 에너지 자립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 금번 사업대상으로 공동주택등 약 2,700세대와 약 100개 건물(+상가), 100개소의 분산형 신재생 설비 등을 적용 및 구축 하여 도시에너지의 디지털전환을 지원 할 예정이며, 울산 스마트시티 시민체감형 DR도 도입 할 예정입니다.
▶ 케빈랩은 향후 2025년말까지 본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총 4,800톤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전국 지자체 확산이 가능한 스마트에너지시티 모델을 선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
|
|
[ 케빈랩, 한전과 노후공동주택 에너지관리-변압기 안전문제 해결을 위한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이노웨이브(Inno-wave)』 추진 ]
▶ 케빈랩은 오는 8월부터 한국전력공사와 함께 공동주택내 에너지관리 & 전력안전관리(변압기) 문제 해결 을 위한 개방형 혁신프로그램인 ' 이노웨이브 실증사업'을 추진 할 예정입니다.
▶ 금번 프로젝트에서는 케빈랩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공동주택 에너지관리플랫폼(EaaS)에 하절기 전력사용급증에 따른 변압기 및 수배전반 실시간 안전관리를 위한 AI기반의 이상탐지 및 사전 경보 알람 , 공동주택 전력피크 관리 서비스를 한전과 함께 진행하게 됩니다.
▶ 본 협력사업은 창업진흥원이 혁신역량을 보유한 초격차 스타트업*과 수요기업 간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사업화 촉진 및 신사업 기회 창출을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최대 5,000만원의 협업 자금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케빈랩은 수요기관인 한전과 컨소시엄을 구성 본 프로젝트 실증사업을 추진 할 예정입니다.
▶ 케빈랩은 본 PoC에서 기존 에너지관리플랫폼내에 변압기 안전 및 전력피크 실시간 모니터링, 분석모니터링 장비를 설치하고 AI기반의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노후 공동주택의 에너지관리 및 안전 문제를 해결하고 실증결과를 토대로 한전과 케빈랩이 서비스중인 약 60만세대 공동주택 및 전국 노후공동주택(약1,500만 세대)을 대상으로 혁신기술과 에너지서비스(EaaS)를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 케빈랩은 앞으로도 한전등 에너지공기업과의 다양한 현장 중심의 실증 협력 모델을 통해 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체계를 현실화해 나가며, 공공성과 기술 신뢰를 함께 높여 나아가겠습니다.
|
|
|
[ 케빈랩, 2025 NIA 한-세르비아 DGCC 협력사업 수주 ]
▶ 케빈랩은 NIA에서 공모한 2025년 한-세르비아 디지털정부협력센터 (Digital Government Cooperation Center ) 공동협력과제(세르비아 스마트그리드 & 스마트시티 ISP수립)를 AI 스마트시티 컨설팅 벤처기업 인 닉온컴퍼니와 스마트시티 분야 상장기업인 이노뎁과 공동으로 수주하였습니다.
▶본 사업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MOIS)와 세르비아 행정자치부(MPALSG)가 협력 운영하는 국제공동 연구 및 ISP구축 용역사업으로 세르비아 디지털 정부 구축을 위한 기획, 지식 교류, 역량 강화, 기술 컨설팅 등이 25년 11월까지 진행 될 예정입니다.
▶ 과제 선정 배경에는 그동안 케빈랩이 세르비아 현지에서 수행한 스마트미터링 국제입찰 참여, 지역난방 에너지관리 시범사업 및 에너지 절감 성과등 그동안의 경험과 기술 경쟁력이 강점이 되었습니다.
▶ 케빈랩은 디지털 정부 사업 내 스마트그리드에 관한 현황 분석 및 로드맵, ISP수립 제안을 수행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현재 현지에서 행정자치부, 에너지청, 세르비아 국영전력공사 등 다양한 정부 산하기관 및 민간기관을 대상으로 관련 법체계 및 제도,기술등을 조사-분석를 진행 중입니다.
▶ 케빈랩은 또한 본 사업을 토대로 올해 하반기 진행 예정인 2차 세르비아 스마트 미터링 국제 입찰 사업 (약 40만세대, 1200억원규모) 수주를 위한 준비과정으로 협력 네트워크 강화와 세르비아 현지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에너지 수요관리 시범 사업 등으로 확산 할 예정입니다.
|
|
|
[KT Cat.M1망 인증획득, 스마트RTU 통신 내장형모듈로 라인업 강화]
▶케빈랩이 자체 개발한 스마트 RTU(Remote Terminal Unit)가 KT Cat.M1(LTE‑M) 통신망 인증 획득했습니다.
▶이번 인증은 단순한 기술 검증을 넘어, 이미 상용화된 SKT 외장형 모뎀 방식의 모델에 더해, 통신 모듈을 내부에 내장한 새로운 RTU 라인업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 Cat.M1은 저전력,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보안성이 뛰어나 산업용 IoT 솔루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케빈랩의 RTU는 내장형 LTE‑M 모듈 기반에 USIM 구성 및 EAP‑AKA 기반의 인증 절차를 모두 완료하여, 산업 현장 수준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충족했습니다.
▶ 특히 OTA(Over‑The‑Air) 원격 펌웨어 업데이트, 설정 변경, 장비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해짐으로써, 현장 방문 없이도 365일 24시간 유지·보수가 가능한 운영 효율성을 확보했습니다.
▶ 이번 인증을 통해 케빈랩은 KT와 SKT 양대 통신사의 망 인증을 모두 갖춘 산업용 RTU 기업으로 자리매김 했으며, 이는 네트워크 이중화와 통신망 선택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객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또한 내장형 RTU 모델은 기존 외장형 방식 대비 설치 편의성 및 제품 통합도에서 큰 차별점을 가지며, 유사 경쟁사 제품 대비 비교우위기술을 보유하게되었습니다. 아울러 본 제품은 8월부터 평택시 스마트시티 에 첫 공급될 예정이며, 차차 적용 지자체 및 대상을 확대해 나아갈 예정입니다.
▶앞으로 TTA 인증, KT 디바이스 등록, 공공 조달사업 진입 등의 상용화 절차를 체계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며, NB‑IoT 및 글로벌 LTE‑M 인증도 동시에 준비하고 있어 해외 시장 진출도 확대 강화 하겠습니다.
|
|
|
[ 케빈랩, 베트남 ELECS Vietnam 2025 성료, 베트남 GreenPower Group과 MOU 체결 및 USD $ 100M 달러 수출추진 성과 ]
▶ 케빈랩은 지난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베트남 호치민 SECC에서 개최된 ‘ELECS Vietnam 2025’에 참가해 건물(공장) 및 신재생 에너지관리 플랫폼 기술을 선보이며 총 120만 달러 규모의 수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 특히 베트남 현지 에너지 솔루션 그룹인 GreenPower Inc 와의 솔루션 수출 MOU 및 연내 계약 진행 (USD $100M 규모)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건물 및 공장등의 에너지관리솔루션 공급(+전력안전-통합관제), 약 200MW 이상의 사업장에 대한 신재생(태양광) 통합관제등 날로 발전하고 있는 베트남의 에너지문제 해결 및 최적화된 에너지관리 플랫폼을 공동 사업화 하고, 이를 배출권거래까지 확대하는 내용에 합의 했습니다.
▶ ELECS Vietnam은 베트남 최대의 전력·신재생에너지 전문 전시회로, 한국전력공사의 수출지원 사업 일환 으로 국내 LS일렉트릭 및 효성등 대기업과 중소 전력기자제 기업 , 그리고 케빈랩등 초척차 에너지스타트업 2곳이 참여했습니다. ▶ 케빈랩은 금번 전시에서 가정 및 건물용 에너지 관리 플랫폼을 비롯해 △신재생 발전 통합관제 시스템 (K-REMS) △수요관리 연계 제어 기술△실시간 계측 하드웨어(RTU, 스마트미터, 통합환경센서등) 등 통합 에너지 플랫폼의 주요 기술을 소개하며 참가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 케빈랩은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동남아 시장 내 현지화된 기술 보급과 파트너십 모델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며, 향후 DR, VPP, ESCO 등 고도화된 에너지 서비스(EaaS) 모델의 글로벌 확산도 동시에 추진 할 예정입니다.
|
|
|
[ 케빈랩, 롯데건설과 열적쾌적성(PMV)기반의 건물에너지 최적제어 PoC진행 ]
▶ 케빈랩이 롯데건설과 관내 연수원건물 대상으로 열적최적성(PMV) & Cloud 기반의 건물에너지 최적제어 를 위한 실증업무를 추진합니다.
▶ 본 실증 사업은 건물내 실시간 전력사용현황(용도별) 및 실내환경정보(온습도,재실,미세먼지), 기설치된 IoT 센서정보를 통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분석을 통해 열적쾌적성(PMV)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공조설비 에 대한 최적제어, AI 예측모델 개발등을 목표로 기획되었으며, 롯데건설 연구팀과 함께 업무를 추진 중 입니다.
▶ 향후 ZEB 민간의무화에 따른 가성비(경제성-효율성) SaaS 기반의 DC-BEMS 도입등도 롯데건설과 함께 논의 될 예정이며 좋은 성과가 확산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예정입니다.
|
|
|
[ 케빈랩,닉온컴퍼니와 WB를 통한 글로벌 스마트시티-에너지사업 발굴 ]
▶스마트에너지 플랫폼 기업 케빈랩과 글로벌 디지털정부 전문 기업 닉온컴퍼니가 세르비아 디지털정부협력 센터(DGCC) 공동과제를 기반으로 글로벌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그리드 분야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였습니다.
▶ 케빈랩은 이번 협력을 통해 세르비아 현지의 전력망 운영체계(EPS, EMS, EDS) 및 디지털정부 수요를 반영한 스마트그리드 생태계 모델 설계, 실시간 에너지 데이터 활용 방안, 실행계획 및 법제도 개선안 제시 등 정책 및 기술 중심의 과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 닉온 컴퍼니는 세르비아, 페루, 파라과이 등 다수 국가에서 AI기반의 디지털정부 협력 사업을 수행한 경험 을 갖춘 전문 컨설팅 기업으로 노민주 대표를 포함한 2명의 직원이 세계은행(World Bank) 스마트시티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세계은행과 함께 스리랑카의 스마트시티 및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을 비롯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우즈베키스탄 등 다양한 국가에서 스마트시티 구축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습니다. ▶ 케빈랩은 닉온컴퍼니와 글로벌 스마트시티시장과 에너지수요관리 서비스의 공공서비스모델을 다양한 신흥국가 디지털정부 협력사업에 확장 적용할 수 있도록 컨설팅 및 플랫폼 설계 노하우를 고도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과 디지털 협력을 선도하는 케빈랩의 글로벌 행보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
|
|
케빈랩(주)
HQ (+기업부설연구소)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덕천로152번길 25, 안양아이에스비즈타워 A동 1101호~1104호
말레이시아법인 : Unit C-8-7, KL Trilion, Level 8, No 338, Jalan tun Razzak, 50400, Kuala Lumpur
TEL : 031-360-3123 / FAX : 031-360-3124
|
|
|
|
|